이전까지의 글에서는 유챗 서버와의 통신에 필요한 맨 아랫 부분을 다루어 보았다. 여기서 부터는 밑바닥에 대한 부분에서 벗어나서 실질적으로 봇을 이용하기 위한 (일종의) 클래스를 구현해 볼 것이다. 글을 쓰는 도중에 tokio가 1.0으로 버전이 올라갔다. 아직 종속된 라이브러리들이 1.0을 지원하지 않아서 0.3버전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다. 1.0 버전으로 올리는 과정에 대해서는 따로 글을 쓸 것 같지는 않으니, 필요가 있으면 직접 Github의 리포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이전글에서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이용해서 직접적으로 접속 정보를 전송하였다: 하지만 위의 코드로는 접속정보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 여러개의 방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매번 접속정보를 생성 해 줘야 하며, 인증 토큰을 필요로 하는 방에 접속하려면 해줄것이 너무 많아진다. 물론 안될 것은 없겠지만 이것들을 직접 구워먹고자 하면 상당히 번거롭고 귀찮은 방법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접속정보를 관리하는 구조체를 만들어서 관련된 작업은 모두 거기서 이루어 지게 한다. 우선 접속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구조체를 만든다. cache_token과 profile_image는 uchat.js를 뜯어보면서 ‘이런게 있는구나~’ 를 알아냈다. 실제로는 어떻게 사용되는지 까지는 모르겠다.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계속해서 내부에선 업데이트가 진행되는듯 한 것으로 보아, 언젠가 기능 구현에 쓰일지도 모르겠다. uchat.js를 뜯어봤더니, 무조건 있어야 하는 값은 방 ID 하나 뿐이었다. 접속 인증을 사용하지 않는 방은 token이 필요 없다. nick이 없으면 알아서 손님1234 같은 닉네임을 만들어 준다. auth 또한 Option으로 뺄려면 뺄 수 있으나 구현에 있어서 한단계 추가 할 것이 생겨서 UChatAuthLevel이라는 enum에 None을 추가해 놓는것으로 타협하였다. 값을 설정하는 방식으로는 builder 패턴을 이용하였다. getter / setter를 만들 필요도 없을것 같아서 저 수준에서 마감을 했다. (어짜피 필요하면 구조체 내에 접근 가능하기도 하다) … Continue Reading →
이전 글에서 유챗이 어떤 프로토콜·구조를 가지고 통신을 하는지 알아 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Tokio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구조를 짜 볼 것이다. 또한 tokio-tungstenite 라이브러리까지 결합하여 웹소켓 접속까지 다루어 볼 것이다. Rust 프로젝트 생성 가장 먼저 Rust를 설치해야 한다. Rust는 rustup으로 간단한게 설치 할 수 있다. rustup은 Rust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툴체인들을 설치하도록 도와주는 공식 프로그램이다. rustup은 https://rustup.rs/ 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 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cargo, rustup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cargo나 rustup가 바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쉘(터미널)을 재시작 해야 한다. /usr/bin등이 아닌 /root/.cargo/bin 와 같은 별도의 폴더에 프로그램이 설치되기 때문에 $PATH를 업데이트 해야 하기 때문이다. 쉘을 재시작 하면 정상적으로 $PATH가 다시 읽혀저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래도 안된다면 폴더를 $PATH에 집어넣든 ln -s $/.cargo/bin /usr/local/bin 등으로 적절하게 기존 $PATH에 집어넣든 해서 조치를 취하자. rustup까지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Rust 프로젝트를 위한 작업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Rust 프로젝트는 Cargo 라는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으로 생성 할 수 있다. (npm 같은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argo new 또는 cargo init를 사용하면 된다. cargo new 이름 을 실행하면 현재 위치 아래에 새로 이름에 해당하는 폴더가 생길것이다. 이미 있는 폴더에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다면 해당 폴더안에서 바로 cargo init를 실행해도 된다. 정상적으로 실행 됐다면 위와 같은 파일 구조를 가질것이다. 여기서 Cargo.toml은 프로젝트의 설정 및 의존 라이브러리 지정에 사용된다. 실제 프로그램의 코드는 src/ 폴더 아래에 들어가게 된다. 이미 src/ 폴더 아래에는 main.rs가 존재하는데, src/main.rs… Continue Reading →
유챗에서 작동하는 간단한 봇을 만드려는 중에, 관련된 자료가 검색해도 보이지 안길레 적어본다. 어디까지나 내가 코드를 분석하면서 찾은것을 기반으로 작성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다. 우선 유챗의 통신 내용을 들여다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모든 통신은 웹소켓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웹소켓중 바이너리 타입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함을 볼 수 있다. 하나의 웹소켓 패킷(바이너리 타입 메세지) 안에서는 \n을 기준으로 여러개의 메세지를 담을 수 있다. 메세지는 중간에 끊어짐이 없다. 각 줄의 메세지는 다시 \x02, \x03, \x04, \x05, \x06, \x07 등으로 내용 구분된다. 다시 말하자면, 우선 바이너리 타입의 웹소켓 패킷으로 메세지의 덩어리가 온다. 들어온 메세지 덩어리는 우선 \n 단위로 나눠진다. 그렇게 나눠진 한줄 한줄 나눠진 메세지는 다시 \x02~\x07을 구분자로 해서 내용이 나뉘어진다. 맨 앞에는 메세지의 타입(기능)을 구분해 놓은것 인 것 같고, 나머지는 자신의 데이터 맨 앞에 있는 구분자에 의해 해당 내용(데이터)의 타입이 정해지는 것 같았다. 메세지1에 \x03 ESukmean 이라고 있으면, 이는 문자열 “ESukmean”임을 뜻한다. \x04… Continue Reading →
Rust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tokio 라는 런타임(라이브러리)를 접하게 될 것이다. Tokio-rs를 사용하면서 알면 좋을만한 팁들을 정리해 보았다. Bytes 라이브러리를 잘 사용하자 단순히 [u8;] 배열을 여기저기 옮겨다니면서 메모리 풀을 사용하는것도 좋지만, Byte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사실 왠만한 상황에서… Continue Reading →
© 2023 ESukmean's — Powered by WordPress
Theme by Anders Noren —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