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tKVM 구매 후기5월 중순에 JetKVM을 구매했다. JetKVM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mstsc나 teamviewer, anydesk등과 다르게 아예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기기에 HDMI를 꽂아서 모니터처럼 작동하며, USB를 꽂아서 키보드·마우스의 역할도 수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윈도우에 부팅하기 전에 BIOS나 GRUB 화면 등등에서도 컴퓨터를 제어 할 수 있다. piKVM 등등 말고 JetKVM을 선택한 이유는 […]
abbyy FineReader OCR 인식후 페이지 크기가 다른 문제abbyy FineReader 16로 PNG로 되어 있는 파일을 OCR로 인식후 pdf로 저장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FineReader에서 이미지를 로딩할 때 dpi(해상도)를 자동 판별한다. 이미지들의 가로x세로 픽셀 수가 같더라도 DPI가 제대로 인식 안될때가 있다. 필자는 수백장 짜리 보고서를 동일한 해상도의 png 파일로 캡쳐해서 OCR로 돌렸는데, 80 DPI 부터 490 DPI까지 제각기 다른 DPI가 나왔다. […]
크로스오버 듀얼뷰를 들이고서4월 두번째 주에 크로스오버의 듀얼뷰(28UDP4K UHD 75)를 사서 쓰고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후기를 남겨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네이버 뉴스가 한 화면에서 다 보인다. 16:10 모니터도 가로가 부족해서 답답했었는데, 이 모니터는 그렇지가 않다. 왠만한 사이트에서 가로 짤림이 없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A4용지, B5 용지 등등… 종이 크기의 문서를 다루면 추천 만약 본인이 종이로 된 문서를 많이 […]
Sveltekit등 hydration이 제공되는 Front를 쓸 때는 SSR로만 쓸 때에도 데이터 유출을 조심해야 함최근 Spring Boot, SvelteKit을 이용해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몇 개 살펴봤다.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를 Sveltekit을 SSR (Server-side Rendering) 모드로만 사용했다. Client-Side Rendering 기능은 꺼놓은 상태였다. 이들 사이트에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에서 쓰이는 데이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발견했다. 개발자가 부주의 하다면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 될 수 있다. CSR 에서는 (당연히) 모든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됨 CSR이 켜져있다면 중요한 데이터가 […]
Dokku를 이용한 Sveltekit 배포 스크립트이때껏 Sveltekit로 간단한 사이트를 몇 개 만들었다. 매번 수동으로 Dokku를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이 글에 설정법을 간단히 정리한다. 이 글은 adapter-node 만을 다룬다. adapter-node의 기본 설정 방법은 https://svelte.dev/docs/kit/adapter-node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어뎁터로 빌드했다면 적용되지 않는다. Dokku에 프로젝트를 올리면 herokuish가 package-lock.json 와 package.json 를 확인하여 npm 프로젝트로 인식한다. 그리고 알아서 nodejs 빌드팩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한다. […]
Spring Boot 3.0 환경에서 Whatap 연동Kotlin + Spring Boot 3.0 + Java 17 LTS 환경에서 Whatap APM을 연동할 일이 생겼다. 이 글에서는 연동 방법과 몇가지 애먹은 부분을 기술한다. 에이전트 설치 Whatap 공식 문서 곳곳에서 $WHATAP_HOME 라고 되어 있는 것은 .jar 파일이 있는 경로를 말한다. 환경변수로 $WHATAP_HOME를 설정해도 안먹으니까 주의하자. 이후, [whatap의 프로젝트 페이지 – 관리 – 에이전트 설치]를 참고해서 whatap.conf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