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오버 듀얼뷰를 들이고서4월 두번째 주에 크로스오버의 듀얼뷰(28UDP4K UHD 75)를 사서 쓰고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후기를 남겨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네이버 뉴스가 한 화면에서 다 보인다. 16:10 모니터도 가로가 부족해서 답답했었는데, 이 모니터는 그렇지가 않다. 왠만한 사이트에서 가로 짤림이 없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A4용지, B5 용지 등등… 종이 크기의 문서를 다루면 추천 만약 본인이 종이로 된 문서를 많이 […]
Sveltekit등 hydration이 제공되는 Front를 쓸 때는 SSR로만 쓸 때에도 데이터 유출을 조심해야 함최근 Spring Boot, SvelteKit을 이용해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몇 개 살펴봤다.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를 Sveltekit을 SSR (Server-side Rendering) 모드로만 사용했다. Client-Side Rendering 기능은 꺼놓은 상태였다. 이들 사이트에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에서 쓰이는 데이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발견했다. 개발자가 부주의 하다면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 될 수 있다. CSR 에서는 (당연히) 모든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됨 CSR이 켜져있다면 중요한 데이터가 […]
Dokku를 이용한 Sveltekit 배포 스크립트이때껏 Sveltekit로 간단한 사이트를 몇 개 만들었다. 매번 수동으로 Dokku를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이 글에 설정법을 간단히 정리한다. 이 글은 adapter-node 만을 다룬다. adapter-node의 기본 설정 방법은 https://svelte.dev/docs/kit/adapter-node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어뎁터로 빌드했다면 적용되지 않는다. Dokku에 프로젝트를 올리면 herokuish가 package-lock.json 와 package.json 를 확인하여 npm 프로젝트로 인식한다. 그리고 알아서 nodejs 빌드팩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한다. […]
Spring Boot 3.0 환경에서 Whatap 연동Kotlin + Spring Boot 3.0 + Java 17 LTS 환경에서 Whatap APM을 연동할 일이 생겼다. 이 글에서는 연동 방법과 몇가지 애먹은 부분을 기술한다. 에이전트 설치 Whatap 공식 문서 곳곳에서 $WHATAP_HOME 라고 되어 있는 것은 .jar 파일이 있는 경로를 말한다. 환경변수로 $WHATAP_HOME를 설정해도 안먹으니까 주의하자. 이후, [whatap의 프로젝트 페이지 – 관리 – 에이전트 설치]를 참고해서 whatap.conf […]
수동식(?) 스플릿 키보드필자는 어깨가 아파서 자주 한의원에 간다. 옛날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최근 2~3년 사이에 어깨 통증이 잦아졌다. 3달 주기로 통증이 찾아오는데,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3주는 꾸준히 병원을 가야한다. 실력이 좋은 한의사 분을 찾아서 3주지, 그렇지 않았다면 거의 만성통증 처럼 지냈을 것 같다. 해당 한의사분의 말에 따르면 20대 때 프로그래밍 업무를 하셨다고 한다. 그 덕분인지, 아픈 부분을 잘 […]
Docker의 기초 컨셉주변 지인분들에게 시스템 아키텍쳐에 Docker 도입이 필요하다고 약을 팔았다. 약을 팔기 위해서 Docker의 기초 컨셉에 대해 소개하는 자료를 만들게 되었다. 이것을 그냥 내부에서 쓰고 버리기에는 아까워서 블로그에도 옮겨둔다. Container 기술 가상 머신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를 통해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물리 서버에 Windows Server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VMware나 VirtualBox를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