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소개
-
내맘대로 뽑은 8월 4째주 읽어볼만한 HackerNews 글들
https://news.ycombinator.com 을 보고 읽을만한거를 정리해봤습니다. How NAT Traversal Works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24241105, https://tailscale.com/blog/how-nat-traversal-works/ NAT traversal이 어떻게 되는지를 다룬 글입니다. P2P 통신을 하게되면 NAT Traversal을 한번씩 꼭 다루게 됩니다. 일반 가정집에서는 대부분 공유기를 하나씩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유기 아래에 있는 컴퓨터는 대부분 사설 IP를 가집니다. 사설 IP를 가진 컴퓨터가 다른 집에 있는 사설 IP를 가진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어떤 방법을…
-
GitFS 설치 및 사용
어제자 HackerNews에 GitFS에 대한 글이 올라왔었다. GitFS는 이름에서 엿볼수 있듯, Git을 파일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게끔 해주는 파일 시스템 구현이다. Python으로 Fuse 구현을 한 것이기 때문에 왠만한 OS에서 문제 없이 동작한다. 일반 Git도 clone을 하면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그럼에도 GitFS를 쓰는 이유는 자동 커밋, 푸시, 패치를 해 주기 때문이다. git fetch의 경우 설정한 주기마다 서버에서 읽기를 시도한다. FUSE 구현으로 통해 파일이 새로 생겼거나 수정됨을 파악하여 알아서 commit과 push까지 해 준다. (이런식으로: https://bitbucket.org/ESukmean/gitfs-test/src/master/) 사용하려면 많은곳에서 쓸 수 있을듯 하다. 여러 서버에 동일한 파일들을 배포해야 할 때나, 수정이 빈번하여 매번 git commit을 하기 귀찮은 작업장에서 사용하기 딱 좋다. 버전관리 또한 깔끔하기 때문에 작업물을 저장하는…
-
통화 녹음 솔루션: 스위치
최근 KT PC제한 시스템에 대해 포스팅 하였다. 해당 글을 보면 중간에 담당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몇가지 안내를 받았다고 적혀있다. 업무용 통화나 고객센터에 따지기 위해 통화 할 때는 내용을 정리하고 종합하는것이 중요하다. 최소한 되돌려 듣기는 꼭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위치 라는 앱을 통하여 통화를 하였다. 꽤나 물건인 듯 하여, 이번 글에서 다루어 보려고 한다. 스위치 란? ‘스위치’ 란 자동으로 통화를 녹음하고 텍스트 변환등을 통해 정리해 주는 SaaS 제품이다. 요즘 스마트폰에서는 ‘통화 녹음’ 기능이 빠지는 경우가 많다. 통화 녹음 기능이 있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말 그대로 ‘녹음’까지밖에 되지 않는다. 공적인 통화일수록 상대방이 무슨 말을 했고, 내가 어느 범위까지 말을 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게 꼭 필요하다. 이때 스위치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통화를 녹음해 줌은 물론, 텍스트 변환을 이용하여 빠르게 전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스위치를 통해 통화를 하면 해당 앱 내에서 빠르게 대화 내용을 볼 수 있다. https://connect.getswitch.app (스위치 커넥트)를 통해 PC를 비롯해서 여러 다른 기기에서 조회 할 수도 있다. 위의 캡쳐는 실제로 KT 고객센터와 통화하면서 자동 녹음 및 텍스트 변환된 내용을 스위치 커넥트 페이지에서 찍은 것이다. 필요하다면 통화마다 ‘태그‘와 메모(통화 노트)를 추가 함으로서 빠르게 통화 내용을 찾거나 요약할 할 수도 있다. 첫화면에서 ‘태그’ 기반으로 통화를 모아볼 수 있기에 통화후 테그를 붙여주는 것 만으로도 빠르게 통화 기록을 찾을수도 있다. 통화의 내용을 빠르게 공유할 수도 있다. 스위치를 처음…